지속 가능한 악기의 제조
Yamaha는 앞으로도 최대한 많은 사람들과 열정과 연주를 공유할 수 있도록 환경과 사회에 친화적인 악기를 계속 생산하고 있습니다.
이번에는 관악기 및 타악기에 대한 사업을 소개하겠습니다.

지역사회와 함께하는 탄자니아 조림 사업
클라리넷, 오보에, 피콜로의 바디는 블랙 색상의 단단한 목재 그레나딜라로 만들어집니다. 원산지는 아프리카의 탄자니아입니다. 원산지는 아프리카의 탄자니아 연합공화국입니다.

그레나딜라는 악기 제조에 없어서는 안 될 소재이지만, 앞으로 멸종될 가능성이 있다고 합니다.
이에 따라, Yamaha는 탄자니아 NGO 및 주민들과 함께 조림 활동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지금까지 4년 동안 약 7,400그루의 나무를 심었습니다.

나무가 악기를 제작할 수 있는 크기로 자라기까지 100년 이상의 세월이 걸립니다. 100년 후에도 숲과 악기가 지속될 수 있도록 Yamaha는 파트너인 마을 주민들과 협력하면서 우뚝 솟은 미래에 도전하고 있습니다.
이 사업에서 벌목 및 판매 수익의 95%는 마을 주민에게 돌아갑니다. 이 구조 덕분에 신축 초등학교와 마을 사무실이 설립되었고 새 침대와 매트리스가 병원에 전달되었습니다. 또한, 여성에게 병원비와 자녀의 통학비를 지원하여 여성의 삶을 풍요롭게 만들고 있습니다.

Yamaha가 내건 기타 약속들
- 인증 받은 산림의 목재를 우선적으로 조달합니다
- 합법적으로 절단 및 거래되는 명확한 공급처의 목재 사용
- 원산지에 인권침해 및 기타 악영향이 없는지 확인합니다
- 유전자 변형 수종은 사용하지 않습니다
- 기존 자원을 최대한 효율적이고 신중하게 사용합니다. 이를 위한 기초 연구의 계속
세계 최초의 대량 악기 양산
무연 땜납 사용
관악기 공장에서는 장인들이 수작업으로 많은 공정을 거치는데, 그 중 하나가 정교한 금속 부품을 함께 붙이는 납땜입니다.

일반적으로 납은 납땜에 사용됩니다. 그러나 납은 인간의 건강에 안 좋은 영향을 미치거나 동물과 물고기가 사는 환경을 오염시킬 수 있습니다.
Yamaha는 인간과 환경에 친화적인 악기를 제조하기 위해 수많은 연구를 수행했고, 세계 최초로 무연 땜납을 사용한 관악기 양산에 성공했습니다.
현재 모든 Yamaha 공장에서 출하되는 관악기*는 무연 땜납을 사용합니다.
*골드 플루트는 제외
포르말디하이드로카본의 환원
관악기뿐만 아니라 타악기까지 실용화되고 있습니다.
새집증후군의 원인물질 중 하나로 목재용 접착제에 함유된 포름알데히드가 있습니다.
포름알데히드를 한계까지 줄이기 위해 Yamaha는 타악기 공장에서 장비, 접착제 및 처리 조건을 개선했습니다. 2009년부터 출하된 Yamaha의 모든 타악기는 일본 보건복지부(Ministry of Health, Labour & Welfare)의 기준을 충족했습니다.
Yamaha 관악기 공장의 환경 보호를 위한 노력
Yamaha는 일본 시즈오카 현, 중국 및 인도네시아에 있는 공장에서 관악기를 제조합니다.
공장에서 관악기를 제작할 때 가열 및 가공된 부품을 냉각시키고 표면의 금속막을 덮고(도금) 악기를 세척하는 데 다량의 물이 필요합니다. 이 때, 다량의 폐수액이 나옵니다.

물을 절약하기 위해, Yamaha는 1970년부터 재활용된 물의 사용과 누출 유해 물질 방지 조치에 대해 노력해 왔습니다. 예를 들어, 강이나 바다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공장 폐수가 수질 및 생체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는 정기 조사를 지속적으로 실시하고 있습니다. 현재,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은 거의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

공장별 이니셔티브
일본 토요오카 공장
장비는 2010년에 새로 도입되었습니다. 우리는 제조 공정에서 발생하는 산성 및 알칼리성 배출물을 집중적으로 배출하여 배출물을 약 80%나 줄였습니다.
중국 샤오산 공장
현재 폐수의 약 80%가 저장성 법을 준수할 정도로 재사용되고 있습니다. 이 법에 따라 일반 공장 폐수 기준보다 더 엄격한 기준이 설정됩니다.
관악기의 구리로 만들어진 부품을 가열하여 가공할 때 필요한 냉각수를 순환시켜 재사용합니다. 이 사업을 통해 연간 약 5700톤의 물 소비를 줄일 수 있습니다.
인도네시아 Yamaha 악기제조 공장
현재 공장 폐수의 60% 이상이 재사용됩니다. 사용되는 화학 물질의 양을 줄이는 데도 노력하고 있습니다.
관악기 뿐만 아니라 리코더의 생산공정에서도 세척수를 재활용하여 사용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연간 약 12,000톤의 물 소비를 줄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