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U 시리즈

궁극의 PCM 톤 생성기로의 진화

TG100

SY 시리즈와 같은 음악 제작용 신디사이저가 보편화되기 시작한 1990년대에는 전 세계적으로 PCM 사운드 엔진이 큰 인기를 얻었으며, 랙 및 데스크톱 타입과 같이 키보드가 내장되지 않은 신디사이저가 대거 출시되면서 PCM 톤 제너레이터가 핵심으로 탑재된 제품들이 대거 출시되었습니다. 그 이전까지 랙 타입 기기는 일반적으로 키보디스트가 톤 제너레이터의 확장 장치로 사용하는 이펙트 유닛, 믹서 및 기타 유사한 기기의 형태를 취했습니다. 하지만 어쿠스틱 악기의 사운드를 사실적으로 재현할 수 있는 PCM 신디사이저가 저렴한 가격에 널리 보급되기 시작하면서 컴퓨터 음악가들은 이 유형의 장치를 매우 편리한 음원으로 채택하기 시작했습니다.

TG300

이러한 발전은 90년대에 컴퓨터 제조업체들이 개인 사용자와 가정에 저렴한 가격의 컴퓨터를 판매하기로 결정하면서 특히 일본에서 PC 소유자의 수가 급격히 증가함에 따라 부분적으로 촉진되었습니다. 이제 취미로 컴퓨터를 이용해 음악을 만드는 사람들도 많아졌고, 주로 책상 위에서 음악을 만들었기 때문에 '데스크톱 음악(DTM - Desktop Music)'이라는 독특한 문화가 탄생하게 되었습니다. 이러한 필요성을 인식한 야마하는 SY 시리즈의 TG 톤 제너레이터 모듈을 기반으로 한 컴퓨터 음악가를 위한 톤 제너레이터 장치인 TG100과 TG300을 출시했습니다.

Logo: General MIDI

이 시기에는 DX7에 도입된 이후 필수적인 신디사이저 기능으로 자리 잡은 미디 기능의 주요 발전인 GM(General MIDI)의 등장도 주목할 만합니다. GM은 신디사이저가 제공해야 하는 보이스 라인업을 표준화하고 곡 데이터를 공유할 수 있는 길을 열었습니다. 예를 들어 호환되는 악기가 프로그램 변경 1 메시지를 수신하면 피아노 음색을 선택해 응답해야 합니다. 마찬가지로 프로그램 변경 30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오버드라이브 기타 음성을 선택해야 합니다. 즉, 여러 개의 보이스가 포함된 미디 형식의 곡은 제작사에 관계없이 호환되는 모든 신디사이저에서 거의 동일한 사운드를 낼 수 있었습니다. 도입 직후 MIDI 형식의 음악 데이터만 포함된 컬렉션이 판매되기 시작했고, 아마추어 뮤지션들의 음악 데이터 공유가 활발해지면서 DTM 붐이 더욱 가속화되었습니다.

즉, GM 표준은 높은 수준의 호환성을 보장하기 위해 의도적으로 범위를 좁게 설정했습니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총 보이스 수는 128개의 악기와 1개의 드럼 세트로 제한되었고 오디오 효과와 관련해서는 표준화된 것이 거의 없었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GM 곡의 표현력에는 한계가 있었습니다.

이에 따라 다른 악기 제조업체들도 자체 톤 제너레이터 표준을 개발했고, 일본 국내 시장에도 진출하기 시작했습니다. 또한 이러한 표준을 기반으로 한 데스크톱 뮤지션을 위한 수많은 미디 곡 컬렉션이 유통되기 시작했습니다. 이러한 배경에서 야마하는 다른 포맷을 훨씬 능가하는 새로운 포맷을 설계하기 위한 작업을 시작했고, 1994년 야마하 XG(EXtended General MIDI)라는 이름으로 출시되었습니다.

"XG format" image
MU80

방대한 음성 및 효과 파라미터를 포괄하는 XG 형식은 톤 제너레이터와 데이터 모두에 대한 요구사항을 명시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이 포맷을 기반으로 호환 가능한 톤 제너레이터를 사용해 재생하는 모든 미디 데이터는 미묘한 뉘앙스까지 원본 악기의 음악과 거의 동일한 음악을 만들어낼 수 있습니다. 또한 고품질의 고급 모델에서 생성된 데이터는 저사양 신디사이저에서도 문제 없이 재생할 수 있어 다양한 사용자층에게 큰 인기를 끌었습니다. 이 새로운 포맷을 최초로 지원한 신디사이저는 1994년 출시된 MU80이었습니다.

MU100

MU80에는 고품질 PCM 톤 제너레이터 외에도 아날로그-디지털 입력이 탑재되어 있어 기타나 마이크를 연결하고 온보드 오디오 이펙트를 사용하여 자유롭게 프로세싱을 적용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강력한 기능 덕분에 MU80은 곧 기타 연습, 노래방 및 기타 다양한 용도에 이상적인 혁신적인 악기로 명성을 얻게 되었습니다. 그 뒤를 이어 MU90이 출시되었고, 새로운 세대의 사용자를 위한 고성능 톤 제너레이터 모듈인 MU100이 그 뒤를 이었습니다.

Catalog image

XG 포맷은 확장 가능한 공통 사양으로 설계되었기 때문에 호환 가능한 톤 제너레이터의 기능을 제한 없이 추가 개발할 수 있었습니다. 이를 통해 MU100에 플러그인 보드 시스템을 장착하여 톤 생성 기능을 확장하고 더욱 표현력이 풍부한 악기로 만들 수 있었습니다.

MU100R

MU 시리즈의 신디사이저는 원래 데스크톱 뮤지션의 니즈를 고려하여 소형 하프 랙 유닛으로 출시되었습니다. 그러나 톤 제너레이터 모듈을 랙에 장착하는 경우가 많은 북미 시장에 대응하기 위해 이후 랙 장착형 MU100R을 출시했습니다. 이 대형 유닛에 두 개의 서로 다른 플러그인 보드를 동시에 삽입할 수 있어 사용자에게 매우 유용했고 일본에서도 큰 인기를 얻었습니다.

MU2000, MU128

데스크톱 뮤지션용 XG 포맷 톤 제너레이터 시장에 활기를 불어넣은 MU80 출시 이후 거의 매년 새로운 모델이 추가되었습니다. 1998년에는 전년도 MU100보다 두 배 더 많은 음을 동시에 생성할 수 있는 128개 음의 폴리포닉 신디사이저인 MU128을 출시했습니다. 대폭 개선된 이 모델에서는 최대 64개 파트(또는 채널)에서 동시에 사운드를 재생할 수 있었습니다. 크기 면에서는 하프 랙 크기는 그대로 유지하면서 높이가 더 커져 3개의 플러그인 보드를 동시에 설치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1년 후, MU1000과 MU2000 톤 제너레이터 모델을 출시했습니다. MU2000은 GM의 확장으로 개발된 GM 시리즈 레벨 2(GML2) 표준과의 호환성 외에도 간단한 샘플러의 기능도 제공했습니다. 이러한 기능과 기타 기능 덕분에 일반적으로 DTM 제품에서 기대할 수 있는 성능을 훨씬 뛰어넘는 강력한 신디사이저 엔진이 되었습니다.

DTM 시장이 축소되기 시작하면서 야마하는 2000년에 MU1000의 저가형 버전인 MU500을 끝으로 MU 시리즈를 단종시켰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시리즈의 톤 제너레이터는 여전히 많은 데스크톱 뮤지션들이 자주 사용하고 있습니다. 또한 개발 과정에서 완성된 기술은 오늘날에도 일본 음악 문화의 상징인 가라오케용 노래 플레이어와 디지털 피아노용 백킹 트랙 톤 제너레이터 등 다양한 제품에 적용되고 있습니다.

플러그인 보드 - MU 시리즈의 비밀병기

PLG100-VH

플러그인 보드란 기본적으로 신디사이저에 삽입하여 톤 생성 및 이펙트 기능을 확장할 수 있는 전자 회로 기판입니다. MU100 출시와 동시에 새로운 톤 생성 시스템의 동시 개발을 통해 PLG100-SG, VL 톤 생성용 PLG100-VL, 보코더로 사용하거나 모든 파트에 하모니를 적용할 수 있는 PLG100-VH를 동시에 선보였습니다.

이후 DX7과 같은 FM 톤 생성 시스템을 갖춘 PLG-100DX와 MU50과 유사한 사양의 PLG100-XG를 출시했습니다. 플러그인 보드는 MU 시리즈 악기에 국한되지 않고 90년대 후반부터 2000년대 중반까지 야마하의 전체 신디사이저 비즈니스에 크게 기여했습니다.

1999년에 플러그인 보드 라인업을 PLG150이라는 제품명으로 개편하여 VA 톤 생성용 PLG150-VL, FM용 PLG150-DX, 아날로그 물리 모델링 톤 생성기인 PLG150-AN을 출시했습니다. 이 보드는 S80 및 CS6x와 호환되었으며 2001년에 출시된 MOTIF 시리즈 신디사이저와도 사용할 수 있었습니다. 또한 곧이어 피아노용 PLG150-PF와 퍼커션 사운드용 PLG150-DR 및 PLG150-PC가 출시되었습니다. 이 플러그인 시스템은 데스크톱 음악가들만의 전유물이 아니라 모든 종류의 신디사이저 사용자들에게 큰 사랑을 받았습니다.

Catalog image